조선의 천재 과학자 장영실: 노비에서 왕의 발명가로
장영실의 놀라운 발명과 혁신의 여정을 알아보세요. 노비의 신분에서 출발해 조선의 과학 발전에 큰 기여를 한 그의 이야기를 통해, 물시계 자격루, 천문기구 혼천의, 세계 최초의 측우기 등 장영실의 주요 발명품과 업적을 상세히 소개합니다.
조선의 천재 과학자 장영실: 노비에서 왕의 발명가로
장영실이 살아온 길
1. 노비로 태어난 재주꾼
1390년쯤 경상도 동래현에서 기생의 아들로 태어나다.
1392년 3세쯤 조선이 세워지다.
1399년쯤 10세쯤 관청의 종으로 들어가다.
1403년 14세쯤 활자를 만드는 주자소가 세워지다.
2. 뛰어난 솜씨를 인정받다
1405년 16세쯤 궁궐로 들어가다.
1418년 29세쯤 세종 대왕이 임금이 되다.
1420년 31세쯤 공조 참판 이천이 경자자를 만들다.
1421년 32세쯤 중국에 가서 1년 남짓 머물며 앞선 과학 기술을 배워 오다.
1423년 34세쯤 상의원 별좌라는 벼슬을 받다.
3. 물시계 자격루를 만들다
1432년 43세쯤 간의를 만들다.
1434년 45세쯤 혼천의를 완성하고, 호군 벼슬을 받다. 갑인자와 물시계 자격루를 만들다.
1437년 48세쯤 앙부일구, 현주일구 등을 만들다.
1438년 49세쯤 물시계 옥루를 만들다. 채방 별감이 되어 광물 캐내는 일을 하다.
4. 세계 최초로 측우기를 만들다
1441년 52세쯤 세계 최초로 측우기를 발명하고, 수표를 만들다.
1442년 53세쯤 세종 대왕의 가마가 부서져 의금부에 갇히다. 그 뒤, 궁궐에서 쫓겨나다.
장영실의 발명품
년도 | 발명품 |
1432년 | 간의 (천문관측기구) |
1433년 | 혼천의 (천문관측기구) |
1434년 | 자격루 (물시계) , 갑인자 (동활자), 앙부일구 (해시계) |
1437년 | 현주·천평·정남일구 (해시계), 규표 (해그림자 측정기), 일성정시의 (낮, 밤 시간측정기) |
1438년 | 옥루 (천상 자동물시계) |
1441년 | 수표 (하천수위 측량기구) |
1442년 | 측우기 (강우량 측정기) |
장영실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장영실과학관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초등학생이 알아야 하는 용어 설명
가. 간의대와 서운관
천문 관측 기구인 '간의'를 설치했던 관측대로 세종 대왕 때 경복궁 경회루 북쪽에 이 간의대를 크게 짓고, 매일 밤마다 서운관의 관리들이 이곳에서 간의로 하늘을 관측했다. 서운관은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천문, 지리, 기상 관측, 시간을 담당했던 관청으로, 나중에 관상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장영실도 서운관에서 일했다. 세종 대왕 때에는 경복궁과, 지금의 서울 계동인 북부 광화방에 간의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나. 구텐베르크(? ~ 1468)
독일 사람으로, 1440년 무렵에 금속 활자를 만들었다. 그 때 우리나라에는 이미 1234년부터 만들기 시작한 금속 활자가 여러 가지 있었고, 장영실의 갑인자도 만들어진 뒤였다. 구텐베르크는 주석과 납을 섞어서 활자를 만들어 달력이나 성경책 등을 인쇄했는데, 그 뒤 유럽 여러 나라로 구텐베르크의 금속 활자 기술이 전해졌다.
다. 위도
적도를 0도로 하고 남북을 각각 90도로 나누어, 지구 표면을 재는 좌표이다. 북쪽으로 잰 것을 북위, 남쪽으로 잰 것을 남위라고 한다. 장영실은 간의로 북극성의 위치를 재어 당시 한성이 북위 38도임을 밝혔는데, 이것은 오늘날 서울이 북위 37.5 도인 것과 견줄 때 아주 정확한 측정이었다.
라. 이천(1376~1451)
조선의 과학자이며 무신으로 세종 대왕 때 왜구의 침입을 막는 데 큰 공을 세워 충청도 병마 도절제사가 되었는데, 이때 군함을 만드는 일을 하면서 과학자로서 재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세종 대왕의 명을 받아 청동 활자인 경자자를 만들어 냈
고, 그뒤 장영실과 합께 갑인자를 만들어 냈다. 장영실이 간의와 앙부일구, 현주일구, 혼천의 등을 만들 때에도 함께 일했다.
한국 위인들의 생애와 업적을 더 확인해 보세요.
초등학생이 알아야 할 한국의 위인들
초등학생들이 알아야 할 한국의 위인들에 대한 목록입니다. 위인들의 생애와 업적을 통해서 높은 기상을 품을 수 있도록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초등학생이 알아야 할 한국 위인들 한국 위
babyclub.tistory.com
'교육 자료 > 위인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점선 노랫말을 쓰다보면 자연스럽게 암기되요. (1) | 2024.07.02 |
---|---|
백범 김구 선생의 삶과 업적: 자주독립을 위해 헌신한 민족 지도자 (1) | 2024.06.20 |
한힌샘 주시경: 한글의 아버지, 그의 생애와 업적 (0) | 2024.05.31 |
율곡 이이: 뛰어난 학문과 탁월한 리더십으로 나라를 이끈 위대한 유학자 (2) | 2024.05.01 |
김홍도: 우리의 화풍을 개척한 천재 화가의 삶과 그림 (0) | 2024.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