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역 주의보 

가. 홍역이란?

홍역은 급성 발진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전염성이 매우 높은 질환입니다.


나. 홍역의 감염경로

홍역은 기침 또는 재채기를 통해 공기로 전파되며, 홍역에 대한 면역이 불충분한 사람이 홍역 환자와 접촉하게 되면 90% 이상 홍역에 걸릴 수 있습니다. 또한 홍역 바이러스는 태반을 통과하기 때문에 태아가 감염되어 선천성 홍역을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세균이미지세균이미지


다. 홍역의 증상 및 징후 

잠복기: 10~12일

임상증상: 홍역에 걸리면 초기에 감기처럼 기침, 콧물, 결막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고열과 함께 온 몸에 발진이 나타납니다. 합병증: 설사, 중이염, 기관지염, 모세기관지염, 크룹, 기관지 폐렴 등


라. 치료

홍역 증상이 의심되면 즉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일단 홍역에 걸리면 바이러스 질환이므로 치료약이 없습니다. 대증요법으로 고열이 나면 옷을 벗기고 찬물수건으로 맛사지를 하며 영아의 경우 해열제를 항문 안에 좌약삽입하며 탈수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분은 보리차 등으로 충분히 공급하는 정도의 치료법이 있습니다. 한번 홍역을 앓고 회복되면 평생 면역력을 갖게 됩니다.

홍역환자의 피부<홍역환자의 피부 발진 모습>

마. 예방법

홍역의심 환자가 있을 시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예방주사를 맞는 것으로 홍역 예방접종(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은 1차, 2차에 나눠 접종하며 홍역 예방접종을 할 때 접종대상자가 결핵에 걸렸을 가능성이 있으면 투베르클린 검사(결핵피부반응검사)등을 통해 결핵유무를 판정하고 접종과 동시에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