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가 학교에 가기를 꺼려하고 거부하는 경우, 부모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자녀가 학교 가는 것을 거부하는 이유와 함께 보다 효과적인 대응 방법을 안내합니다.  학업적 문제부터 대인관계, 심리적 어려움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자녀를 돕는 방법을 살펴보세요. 자녀와의 소통을 통해 함께 어려움을 극복하는 부모의 지혜를 함께 합시다.

 

학교 가기 싫은 아이를 어떻게 도와야 할까요?

 

1. 누구나 한 번쯤은 학교에 가고 싶지 않다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 마치 직장인들이 월요일이면 직장에 가기 싫은 마음이 드는 것처럼 학생들도 학교에 가기 싫은 마음이 들 수 있습니다. 자녀가 학교 가기 싫다는 마음을 표현하면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거나 야단을 치기보다는 자녀의 학교생활을 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하십시오.

- 놀라거나 당황하지 말고 학교를 가기 싫은 이유에 대해 마음을 열고 들어주십시오. 학교에 대한 스트레스는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누구나 가질 수 있는 것입니다.

 

자녀: 학교 가기 싫어요.

부모: 안 돼! 학교는 꼭 가야 하는 거야 (X)

        그래? 학교 가기 싫을 때도 있지. 혹시 무슨 일이 있니? (O)

가방을 메고 걷는 아이 모습
출처 pixabay

 

2. 학교 자체에 대한 두려움보다는 부모님과 떨어져 있기가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학교 자체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보다는 어머니와의 분리가 힘들거나, 어러미에게 무슨 일이 생길 것 같은 불안 때문에 학교에 가기 않으려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분리 불안의 원인과 그 정도를 잘 이해는 것이 필요합니다.

 

자녀의 학습을 돕는 방법은 아래글을 통해 확인하세요.

 

자녀의 학습을 돕는 현명한 방법

우리나라 부모님들은 자녀의 학습과 학업 성취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큽니다. 이는 자녀의 성공과 행복을 바라는 부모님의 사랑으로부터 비롯된 것이지요. 그러나 혹시 부모님들의 관심이나 노력

babyclub.tistory.com

 

3. 학교 가기 싫다는 말이 아니라 신체적인 불편감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 등교할 때 여러 신체 증상(메스꺼움, 두통, 설사, 잦은 소변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직접적으로 말로 표현하기보다는 신체화하여 표현하는 것이 아동들에게는 더 자연스러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신체적으로 이상 없음이 확인이 되면 등교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있는지를 알아봅니다.

 

4. 아침에 깨워도 잘 일어나지 않거나, 반복적인 지각이나 조퇴를 하기도 합니다.

 

- 학교에 가기가 싫은 마음을 이해받지 못 할 거라는 생각이 들면 솔직하게 표현하지 못하고 여러 가지 이유를 들어서 등교를 거부합니다.

 

5. 다음과 같은 경우에 자녀들은 학교가는 것을 부담스러워하고 등교를 거부합니다.

 

1) 학업수행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학업을 따라가기 힘들거나 학업 성취에 대한 지나친 부담은 없는지를 알아봅니다. 만일 이해려기나 인지적인 발달이 또래에 비해 지연되었거나 집중력에 어려움이 있다면 학업 스트레스는 클 수밖에 없습니다.

 

2) 대인관계의 문제입니다. 선생님이나 또래와의 관계에서 갈등이 생긴 것은 아닌지, 따돌림과 같은 학교폭력을 경험하고 있지는 않은지를 물어봅니다. 후자의 경우라면 선생님께 알리고 적절한 조치를 취합니다.

 

3) 우울증이나 불안장애와 같이 정신과적 질환이 생긴 경우입니다. 자녀들은 실제 마음과는 달리 이러한 질환으로 인해 잠을 잘 자지 못하고 의욕이 떨이지고 긴장과 불안이 높아져서 등교를 거부하게 됩니다.

 

4) 가족문제가 있는 경우입니다. 가족 갈등이 자녀의 등교 거부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6. 무조건적이고 강제적인 등교는 상황을 악화 시킬 수 있습니다.

 

- 아이의 입장에서 공감하면서 기다려 주고, 아이를 어떻게 도와 줘야 될지 생각 해보셔야 합니다.

- 우선, 화를 내거나 비난하지 말고 학교에 대한 자녀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십시오.

 

"계속 학교를 못 가고 있으니 걱정이 되는구나. 솔직하게 말을 해 주면 너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 왜 학교 가는 것이 힘든지 그리고 어떻게 도와주면 좋을지 말해 줄 수 있겠니?"

 

- 학업 수행과 관련된다고 생각되면, 인지 및 주의력 평가 등을 실시하여 학생에게 필요한 구체적 도움을 찾을 수 있습니다.

- 선생님이나 또래 관계와의 갈등이라면 학교 담임 선생님에게 알리고 상의하셔서 학교 내에서 갈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으셔야 합니다. 

- 학교 분위기나 체계에 대한 논리적 거부감이라면, 학생과의 대화를 통해서 학교 거부가 아닌 대안적 행동(대안학교, 검정고시 및 유학 등)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 학교 밖에서 얻는 즐거움을 얻기 위한 행동이라면, 학생의 외부 자극에 대한 취약성에 대한 심리검사 및 현실적으로 외부자극 통제가 가능한지 확인이 필요 합니다.

- 가족 문제, 개인의 우울, 불안 등이 관련되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것입니다.

- 자녀와 대화가 잘 되지 않고 어떤 문제인지 파악하기 힘든 경우에도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자녀가 학교 가는 것을 두려워하고 거부하는 것이 나약하고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부모가 아이의 어려움에 대해 이해하는 태도로 따뜻하게 다가가면 아이도 본인의 어려움을 보다 솔직하게 표현하게 되고 이런 긍정적인 경험만으로도 학교에 대한 스트레스가 나아질 수 있습니다.

 

자녀가 학교 가는 것을 거부할 때 지혜롭게 대처해서 아이를 이끌어 주는 현명한 부모들이 되길 바랍니다.

 

아이와 함께 할 수 있는 심리적 안정을 얻는 호흡법에 대해 알아보세요.

 

심리적 안정을 위한 기법

심리적 안정을 위한 간단한 방법 누구나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오게 되면 맥박이 빨라지고 사고의 정지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런 경우 이완기법을 통해서 어느정도 안정을 찾을 수 있습니다.

babyclub.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