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의 추월차선에 올라타는 비상식적 성공법칙 SMART 목표 세우기
부의 추월차선으로 올라가도록 하는 목표 설정 방법 SMART 원칙을 간다 마사노리는 비상식적 성공법칙이라는 책을 통해 밝히고 있습니다. 그가 밝힌 SMART 원칙을 통해 성공하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부의 추월차선에 올라타는 비상식적 성공법칙 SMART 목표 세우기
학습에 지친 아이들
선행학습과 공교육이 끝나 무섭게 학원으로 달려가는 아이들. 친구들과 놀기 위해서라도 어쩔 수 없이 학원을 등록하고 그 짧은 휴식 시간에 관계를 형성하는 세대에 살고 있습니다.
하루가 너무도 짧아 그들이 충분히 놀기에는 시간이 없습니다. 일어나 학교 가고 남는 시간에는 학원 숙제를 하고 그리고 학원을 다녀와서는 다시 복습을 해야 하는 고달픈 삶을 살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성공의 습관은 아무 곳에서도 알려 주지 않습니다.
그저 문제만 열심히 풀고 정답을 쓰는 것에만 훈련을 받고 있는 거죠. 그런데 살다 보니 세상은 그런 정답을 찍는 신공으로만은 살아갈 수 없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또한 그런 방법으로는 성공하는 추월차선으로 올라설 수 없다는 겁니다.
간다 마사노리의 비상식적 성공법칙
간다 마사노리는 성공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고 말해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런 것을 들어 본적도 없고 들었다고 하더라도 그냥 지나쳐 버렸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시시하다고 사람들이 그냥 스쳐 지나가 버린 단기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어떻게 실현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단기목표 세우기 SMART 원칙
- S (Specific) 구체적이다.
- M (Measurable) 예측 가능하다.
- A (Agreed upon) 동의하다.
- R (Realistic) 현실적이다.
- T (Timely) 기일이 명확하다.
이미 성공과 관련된 책들을 읽었다면 목표를 세우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들어 보았을 겁니다. 하지만 연초에 시작하고 그만두고 말아 버렸죠. 하지만 간다 마사노리는 그것을 아주 간단하게 정리해 줬습니다. 그냥 종이에 써보라. 그리고 그것들을 매일 아침이나 자기 전에 읽기만 하면 그다음은 뇌가 알아서 그것들을 이루기 위해 프로세스화 한다는 겁니다.
간다 마사노리의 SMART 원칙 예시
간다 마사노리는 단기 목표를 세우는 예시를 다음과 설명하고 있습니다.
당신이 풍요로워지고 싶다고 하자. 그러나 풍요로워진다는 목표는 추상적이다. 풍요로워진다는 목표를 SMART 원칙을 이용해 다시 써보면 다음과 같다.
S (Specific) 구제적이다. (연 수입을 늘린다.)
M (Measurable) 예측 가능하다. (1억 원)
A (Agreed upon) 동의하다. (확실히 이 정도의 연 수입은 필요하다.)
R (Relistic) 현실적이다. (이 정도는 탈성 가능한 수치다.)
T (Timely) 기일이 명확하다. (내년 4월 30일까지)
다시 정리하면 풍요로워진다는 추상적인 목표를 보다 구체적으로 기록하는 것이다. 내년 4월 30일까지 연 수입 1억 원을 달성한다.
하지만 단기 목표를 세움에 있어 너무 터무니 없는 목표를 세우는 것은 피해야 한다. 물론 장기 목표라면 상관이 없지만 말이다. 1년에 5000만 원 버는 사람이 갑자기 연 10억을 달성하겠다는 것은 단기 목표로 적절하지가 않다. 오히려 비현실적이라서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과정에서 어떤 재미와 즐거움도 느낄 수 없다.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
목표 달성을 잘하는 사람은 목표 달성 후에는 자축하는 습관이 있다. 조촐한 보상이지만 이런 보상이 '파블로의 개'의 실험에서처럼 성공을 향하도록 무조건적인 반응을 하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다.
SMART 원칙을 아이에게 적용하기
만일 게임을 좋아하는 자녀라면, 단기 목표를 완성하면 그 목표 옆에 '게임'이라는 도장을 찍어주면 된다. 그리고 게임을 할 수 있다.
그러면 '게임 = 즐겁다.' 아니라 '목표를 향한 완료 = 즐겁다'로 뇌는 착각하여 시상하부에서 갑상선 호르몬이 자극하여 호르몬이 분비된다.
결국 '게임 = 즐겁다' 에서 '목표를 향한 완료 = 즐겁다'로, 자극 호르몬을 분비하고 '목표를 향한 완료 = 더욱 즐겁다'라는 선순환 구조를 완성하는 것이다.
나 또한 코칭을 배우면서 깨달았던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구체화시키는 것이다. 만일 내담자가 다이어트를 하려고 한다면 언제까지 얼마큼 살을 뺄 것인지 스스로 정하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다음 가능하면 그 목표가 이뤄졌는지 확인하고 이뤘다면 자신을 칭찬하고 보상하는 것이다.
만일 안되었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하도록 하고 다시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어떻게 할 것인지 스스로 찾아가도록 하는 것이 코칭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 아이들을 자신의 목표를 세워 본적이 없다. 부모가 설정한 목표에 영문도 모르고 따라가다 보니 행복하지 않은 것이다. 아니 절대 행복할 수가 없다.
아이들을 성공하도록 아무리 뒷받침 하더라도 아이 스스로가 성공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그 소중한 땀방울들은 부의 추월차선에 올라타지 못하고 그저 추월당하고 말 것이다.
자녀교육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육아 및 교육 자료/자녀 교육' 카테고리의 글 목록
유초등 학교 학습 자료, 진로, 흥미 검사, 성격유형 정보 제공
babyclub.tistory.com
'교육 자료 > 자녀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와 휴식의 균형: 성공적인 학습의 핵심 (4) | 2024.11.11 |
---|---|
바람직한 말하기와 잘못된 말하기 9가지 (0) | 2018.12.03 |
상황에 따른 성폭력-유괴 예방법 (0) | 2018.10.19 |
자녀의 학습을 돕는 현명한 방법 (0) | 2018.10.12 |
스마트폰 중독에 관하여 (0) | 2018.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