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lland검사와 STRONG검사의 차이

 

STRONG® 검사신청 및 절차안내

Holland검사와 STRONG검사 모두 Holland의 육각형모형 이론을 토대로 하고 있다. 그러나 STRONG직업흥미검사의 경우, GOT에만 Holland 이론이 적용되고 있고, 그 외 다양한 포괄적인 직업정보들도 제시해 주고 있다.

 

Holland의 육각형모형 이론을 토대로 하는 각종 Holland검사와 STRONG검사간의 차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1) 검사문항의 구성차이

Holland검사결과 제시되는 직업코드나 STRONG검사결과 제시되는 GOT코드는 모두 Holland 육각모형에 근거한 RIASEC 코드가 나오지만, 그것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문항의 구성은 서로 다르다. 

STRONG직업흥미검사의 경우, 구성은 직업, 교과목, 활동, 여가활동, 사람들 유형, 선호하는 활동, 당신의 특성, 선호하는 일의 세계 등 총 8부로 다양한 분야의 흥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개정된 STRONG직업흥미검사Ⅱ의 경우 6부 선호하는 활동과 8부 선호하는 일의 세계를 삭제하여 총 6부로 구성되어 있다.

느낌표 이미지

 

2) 규준지향검사 vs 준거지향검사

STRONG검사는 규준지향검사로서, 전체 표집 대상의 평균을 50으로 정한 후, 표집편차에 따라 자신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아 볼 수 있다. 즉, 현장형의 원점수가 50이고, 탐구형의 원점수가 40일 때 이 원점수를 가지고는 내가 다른 사람들에 비해 해당영역에 대한 흥미가 더 많은지 혹은 적은지를 비교할 수 없다. 그러나 사람들의 현장형 평균이 60이라고 하는 규준이 정해지면 나의 현장형 흥미는 다른 사람들에 비해 낮은 편이라고 할 수 있고, 반대로 탐구형의 원점수가 비록 40이지만 사람들의 탐구형 평균이 30이라고 한다면 나는 상대적으로 다른 사람들에 비해 높은 탐구형 흥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STRONG검사는 규준지향검사로, 다른 사람과의 상대적인 비교가 가능하다. 

반면, Holland검사는 준거지향검사로 6가지 흥미영역(RIASEC)에 대한 자신의 흥미점수만을 제공해주므로, 흥미영역에 있어 자신의 내부적인 흥미영역에 대한 비교만 가능하다

 

3) 코드부여의 차이

Holland검사는 Holland의 육각형모형에 따라, 이론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하여 직업코드를 부여한다. 반면, STRONG검사는 경험적 근거에 따라 직업코드를 부여한다. 즉, 해당직업에 종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흥미를 측정하여 그 직업에 대한 직업코드를 부여한다. 

 

STRONG vs. Holland.pdf
다운로드

 

 

 

STRONG® 검사신청 및 절차안내

STRONG 검사 절차 STRONG 검사 소개 STRONG 신청 안내1. 카톡 플러스친구로 등록하세요. http://pf.kakao.com/_sxmKxhC 2. 친구 등록 후 아래 목록에서 받고자 하는 검사를 확인하고 카톡으로 입금한다.2-1. 진로

babyclub.tistory.com

 

+ Recent posts